<소유헌 逍遊軒>담 당 : 이재현, 김예빈, 김성수위 치 : 경기도 파주시 동패동연면적 : 198.50㎡구 조 : 철근콘크리트구조시 공 : 신민철주 방 : 바이키친조 경 : 가든율사 진 : 최수영 Architect : JAEGUIDANG ARCHITECTS / PARK HYUNGEUNProject team : Lee jaehyun, Kim yebin, Kim sungsuLocation : Paju-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Gross floor area : 198.50㎡Structure :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Builder : Shin MincheolKitchen : BuykitchenLandscape Design : Garden yulArchitecture Photograph :Choi suyoung 어느날, 아파트 입주전까지는 평생 주택에서 산 남편과 주택살이를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아내가 찾아왔다. 두 부부의 성향은 나와는 전혀 다른(?) 매우 차분한 성격의 부부였다. One day a couple came to me. The husband only lived in a house and his wife in an apartment. They lived together in an apartment when they got married. “아파트 생활은 편하기도 하지만 불편한 것도 많이 느껴집니다. 고층에서 보이는 뻥 뚤린 공원 뷰는 오래가지 못했고, 주차는 편리했지만 엘리베이터는 매우 귀찮게 느껴집니다. 넓은 집이지만 한 편으로 매우 답답하다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어릴 적부터 단독주택에 익숙해졌던 탓인지 쉽게 나갈 수 있는 외부공간이 없어서 인지......(중략)..아이가 어느정도 커가면서 단독주택을 짓고 싶어 하는 나의 꿈을 아내와 공유하기 시작했어요...그리고 요즘 아이들은 친구들과 편하게 어울릴 공간이 거의 없고, 기껏 아파트 서로의 집에 초대하거나, 키즈카페, 놀이터가 전부인데 코로나로 이런 활동도 쉽지 않아 너무 마음이 아팠습니다. 우리 부부는 아이를 위한 공간과 경험이 더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공감해 아파트 생활보다는 우리만의 단독주택을 지어 안전하면서도 아이가 맘껏 좋은 추억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겠다 결심했습니다. 또한, 평생 한 번도 좋은 집에 지내시지 못하셨던 부모님을 모실 수 있다면.......그래서 오순도순 행복한 미래의 모습을 그려봅니다.” The husband says :Living in an apartment may seem comfortable, but there are also some disadvantage. At first, I enjoyed the panoramic view of the park from the upper floors. But It didn’t last long. I got sick of this now.Parking is very convenient, but the elevator irritates me.My apartment is quite big, but strangely it felt like too small for me.I’m used to living in a house with my own eternal movement and it feels like I don’t have this privacy when I’m outside in the apartment.As my kid gets older, the more desire I have to talk to my wife about my dream house. In my opinion, kids who live in apartment don’t have space to hang out these days.There are only cafes and playgrounds for children.Since the pandemic, they have had no choice but to stay at home.It hurts me a lot.After the pandemic, my wife now understands why living at a house is more comfortable than an apartment.I hope my child will enjoy our garden and be able to live and support her grandparent who didn’t have a good house. “남편의 주택에 대한 욕망과 설득, 주입(?)은 결국!. 주거형태가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된 거 같아요. 아직 한 번도 주택에 살아보지 않아서 기대도 되고 두려운 것도 사실이예요. 그래도 용기를 낸 첫째 이유는 아이에게 좀 더 좋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고, 둘째는 시부모님과 함께 사는데 어떻게 하면 각자의 생활을 지켜가며 사이좋게 살 수 있을까? 아파트가 아닌 주택이 큰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게 되었어요. 또한, 결혼과 출산으로 갑작스럽게 변환 환경으로 저를 너무 아끼지 못한고 돌보지 못했던 것 같아요. 건강이 계속 좋지를 않아 많이 힘들었어요. 이제 아이가 좀 크고 주택으로 이사를 하고 나면 좀 더 나를 아끼고 사랑하면서 살고 싶어요. 체력이 되면 집도 많이 가꾸고 꾸미면서 살고 싶은 욕망이 있어요”The wife says : My husband’s desire in living at a house and his persistence in trying to convince me finally worked.I never thought that the type of house a man lives in would affect my life.It’s true that I’m scared to live in a house because I’m worried about my safety and privacy. But now.. living in a house?I was inspired by the love I had for my family. Especially for my child.My daughter can have her own garden! That means she won’t have to stay in her apartment during the pandemic. She can have her own outside flow!That’s the number one reason to build a house.Looking back,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for me. Marriage, childbirth, and I cared less about myself. However, now that I have decided to move home, this decision is a good mtivation to cherish my life. 건축주의 메일을 받고 풀어야 할 것이 많은 과제임을 알았다. 가장 민감한 부분이 시부모님과 불편함이 없는,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동선 및 공간구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한마디로 다가구 같은 단독을 설계해야 하며 필요시 전 가족이 쉽게 모일 수 있는 공간. 그리고 주택생활이 처음인 아내의 걱정을 덜기 위해 프라이버시가 확보되는 안전한 주택을 제공해야 한다. 물론(?) 공사비 등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해 전체 면적은 60평 이하로 계획되어야 한다. I have all their reasons for wanting to build a house.Nowdays, we are not living with our parents after marriage. A corridor must be created each family member to ensure privacy in the house.But they must be togeter.In sort, they want a house that looks like a multi-family house.I aslo need to reassure the wife who doubts the safety to her home.Of course, the construction costs for building a house must also be considered.Therefore, it will be designed under 198㎡. site는 이른 시기에 조성된, 최근의 택지 크기보다는 조금 여유가 있는 단독택지의 경계에 위치한다. 약간만 벗어나도 고층 아파트와 빌딩 등으로 도시화가 완성된 동네이다. 첫 site 방문에서 주변의 너무나 강렬한(?) 기존 주택들의 모습에 조금은 차분한 결과물을 안겨주고 싶다고 생각했다. 전체적인 건물의 디자인은 중정을 만들어내는 담장을 건물과 일체화시켜 전체적인 요소가 많지 않고 차분한 이미지로(흡사 건축주의 성향과도 어울리는)로 만들어내고 싶었다. 상층부 매스는 거친 재료로 선정해 중정에서의 빛의 움직임, 시간을 흐름과 변화를 좀 더 강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우선 층간소음이 민감할 수 있으므로 구조는 콘크리트를 제안했으며, 측면완충재까지 충실히 적용했다. 공간적으로는 1층을 부모님의 공간과 공용의 공간으로 구성하고 2층을 부부와 자녀의 공간으로 구성했다. 하나의 현관을 사용하되, 현관을 지나면 바로 2층을 올라가는 계단을 만들고 또 별도로 소음 차단을 위한 도어를 설치했다. 늦은 밤이라도 잠든 부모님께 피해를 주지 않고 편하게 배달음식을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장 소음이 많을 수 있는 2층의 아이방과 가족실(늦은시간까지 시간을 보내는)은 수직적으로 1층 부모님방과 가장 먼 곳에 배치했다. 또한, 1층 현관에서 집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진입,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카페(?)’ 같은 공간을 구성했다. 마당으로 열려있으며 외부에서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전 가족이 모이거나, 초등학생 딸과 친구들이 모여 놀거나, 혹은 부모들이 시간을 보내거나, 또는 늦은 시간 혼자 조용한 시간을 보내는 다양한 용도의 공간이다. 낮 시간엔 아내와 아이의 공간으로, 저녁시간에는 남편의 공간으로, 주말에는 가족의 공간으로 매우 잘 활용될 것이다. 부모님은 편안한 시간을, 아이는 즐거운 시간을, 부부는 안정된 여유를 즐기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집의 이름 소유헌(逍遊軒)은 장자의 소요유(逍遙遊)에서 착안했다. 소(逍) : 어른들에게는 느긋하게 마당을 걸으며 편하고 안정된 시간을 보내는 공간을.....유(遊) : 아이에게는 늘 소풍을 온 것 같은 느낌을....제공하고 싶었다. 두 부부, 그 가족과 너무 잘 어울리는 택호이며 집이다. I have all their reasons for wanting to build a house.Nowdays, we are not living with our parents after marriage. A corridor must be created each family member to ensure privacy in the house.But they must be togeter.In sort, they want a house that looks like a multi-family house.I aslo need to reassure the wife who doubts the safety to her home.Of course, the construction costs for building a house must also be considered.Therefore, it will be designed under 198㎡. The location of the property is at the edge of a detached housing site that is a littl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most recent housing site built in the early days.It is a community that has undergone full urbanization, with high-rise residences and structures even a short distance outside.When I first arrieved at the site, I believed I wanted to have a tranquil effect on the appearance of the nearby existing dwellings.In order to create a tranquil picture (which also fits the architect’s style), the building’s general design sought to incorporate the fence that forms the courtyard with the building.To make it easier to percecive the flow of time and light in the middle, a rough material was used for the upper mass.Inter-pass noise can be sensitive, so concrete was first proposed for the structure, with lateral damping applied faithfully to the orignal.Spatially, the first floor consisted of a grandparents area and common room, and the second floor consisted of a couple’s area and a kid’s area.A single porch was used, but a stairway built directly up to the second floor after passing the porch, and a separate door was installed to block noise.This is a convenient way that they can order food delivery without disturbing their parents who are asleep at night.Also, the child’s and family rooms on the second fllor, which are considered the loudest, were placed the most vertically away from the parent’s room on the first floor.In addition, we built a spasce like a “cafe area” in a separate building that allows you to enter and exit without entering the house form the entrance on the first foor.It is open like a courtyard easily accessible from the outside.It is a multi-purpose room where the whole family can gather, elementary school daugthers and friends can spend time together, and parents and children can spend quiet time alone late at night.During the day, it is used as a room for the wife and child, at night as the master’s room, and on weekends as a fmily room.Parents can have a good time, child can habe fun, and couples can have a stable and relaxing time. The name of the house, So U-heon, was conceviedd from Soyoyu of Zhugngzi.For adults, to take a leisurely walk in the garden and spend a comfortable and stable time, it always feels like a picnic with their child.I aimed to create a house is close to the lives of couples and their families.This is a project that took some time to complete with some pretty challenging finishing touches. 꽤나 까다로운 완성도를 요하는 공사에 시간이 조금 오래 걸린 프로젝트이다. 많은 위기와 어려움도 있었지만 그 차분함으로 모든 걸 잘 견뎌내신 건축주 분들에게 감사한다. There were many crises and difficulties, but I am grateful to the owners who endured everything calmy.